HTML 기초 정리
2018-12-07 00:00:00 +0000HTML과 HTML5차이
- 웹의 애플리케이션화를 위해서(단순한 정보 전달=>다양한 서비스 제공)
- 문서의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(이전에는 꾸미는것도 같이 씀=>CSS와 분리)
HTML문서 구조
- DOCTYPE 는 HTML 버전을 정의. 버전에 따라 문법이 다르기 때문
- HEAD에 문서 정보를 작성
- BODY는 우리눈에 보이는 화면을 꾸밈
HTML 기초 문법
- 태그의 대소문자 구별X
- 시작태그와 종료태그로 이루어지거나, 하나의 태그로 이루어진다
목록 태그
- ol : 번호가 있는 목록
- ul : 번호가 없는 목록
- dl, dd : key, value로 이루어진 목록. 용어를 정의할 때 사용
- dl, dd 예제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title>타이틀입니당</title>
</head>
<body>
<dl>
<dt>웹표준</dt>
<dd>W3C권고안으로 만든 문서</dd>
</dl>
</body>
</html>
div, span
- div는 자기가 있는 줄의 자리를 다 차지한다
- span은 옆에 자리가 비워져 있다
id, class
- id는 유일한 하나의 식별자이다
- class는 grouping 하는데 쓰인다
경로
- 절대경로 : 프로젝트 위치 경로에서 시작( 프로젝트이름/경로… )
- 상대경로 : html 파일 위치에서 시작( ./경로… )
h1
- 글자크기X 문서를 구조적으로 보여주기 위해서 사용
웹마
- 현재 사이트의 이미지를 모두 저장하는 기능을 가진 프로그램
다양한 기능들
- IMG SRC
- 이미지 추가. alt는 시각장애인들을 위해 반드시 넣어야 한다(공공프젝 중요!!)
<li><img src="./img/road2.jpg" alt="5" ></li>
- INPUT
- 전송버튼, 체크박스, 라디오 박스 등 다양한 기능을 만들 수 있다
- HTML5가 되면서 MAIL FORM에 MAIL체크도 가능(@만 체크하므로 세세한 확인 필요)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title>Insert title here</title>
</head>
<body>
<h3>form Exam</h3>
<form action="server_url.jsp" method="get">
<fieldset>
<ol>
<li>
<label for="userName">이름</label>
<input type="text" name="userName" id="userName"
autofocus="autofocus" placeholder="ex)홍길동">
</li>
<li>
<label>이메일</label>
<input type="email" placeholder="ex)23123@gmail.com" required="required" />
</li>
<li>
<label>날짜</label>
<input type="date"/>
</li>
<li>
<label>색상</label>
<input type="color"/>
</li>
<li>
<label>수량</label>
<input type="range" min="1" min="10" min="5"/>
</li>
<li>
<label>옵션</label>
<select>
<option value="BMW">BMW</option>
<option value="BENCH">벤츠</option>
<option value="KTX">KTX</option>
</select>
<li>
<label><input type="checkbox" name="월" value="1"/>월</label>
<label><input type="checkbox" name="화" value="2"/>화</label>
<label><input type="checkbox" name="수" value="3"/>수</label>
<input type="radio" name="fruit" value="사과" /> 사과
<input type="radio" name="fruit" value="바나나" checked="checked" /> 바나나
</li>
<li>
<input type="radio" name="fruit" value="1"/>목
<input type="radio" name="fruit" value="2"/>금
<input type="radio" name="fruit" value="3" checked="checked" />토
</li>
</ol>
</fieldset>
<fieldset>
<input type="submit" value="전송">
</fieldset>
</form>
</body>
</html>
- IFRAME
- 다른 페이지의 내용을 불러온다
<p>
<iframe src="img_exam.html" width="500" title="이미지 예제"></iframe>
</p>
- VIDEO
- 동영상을 불러오는 태그
<figure>
<figcaption>
동영상
<video width="640" height="360" controls="controls">
<source src="Merry_Love.MP4" type="video/mp4"/>
</video>
</figcaption>
</figure>
- TOP
- 페이지의 맨 처음으로 이동
<a href="#top">top</a>
- TABLE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title>Insert title here</title>
</head>
<body>
<table width="450" border="1" cellpadding="0" cellspacing="0">
<caption>2018프로야구 순위</caption>
<thead>
<tr height='50' align="center">
<td>순위</td>
<td>팀명</td>
<td>승</td>
<td>무</td>
<td>패</td>
</tr>
</thead>
<tbody>
<tr height='50' align="center">
<td rowspan="2">1</td>
<td>SK</td>
<td>90</td>
<td>0</td>
<td>10</td>
</tr>
<tr height='50' align="center">
<td>두산</td>
<td>80</td>
<td>0</td>
<td>20</td>
</tr>
<tr height='50' align="center">
<td>3</td>
<td>넥센</td>
<td>70</td>
<td>0</td>
<td>30</td>
</tr>
</tbody>
<tfoot>
</tr>
<tr height='50' align="center">
<td colspan='2'>합계</td>
<td></td>
<td></td>
</tr>
</tfoot>
</table>
</body>
</html>
Eclipse Web 환경세팅
2018-12-07 00:00:00 +0000톰캣 설정 시 주의사항
- 톰캣 설치 시 마지막 finish 시 체크박스 해제
- 항상 서버가 돌아가는게 아니라 이클립스 사용 시 돌아가도록 체크박스 해제
이클립스 설정 변경
- 자바EE로 변경
- window-preference-Server-Runtime E~ - ADD-톰캣버전 선택-톰캣 폴더 추가
- window-preference-WEB 선택. HTML, CSS EUC-KR을 UTF-8로 변경
- 앞으로는 JavaProject가 아닌 Dinamic Web Project 만들기
- WebContent폴더에서 HTML 파일 추가
피보나치의 수
2018-12-04 00:00:00 +0000문제
Source
import java.util.Scanner;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int count = sc.nextInt();
long before_num = 0; // 이전 값
long cur_num = 1; // 현재 값
for(int i = 1; i < count; ++i){
long temp = before_num;
before_num = cur_num;
cur_num += temp;
}
System.out.println(cur_num);
}
}
Oracle 반복문,커서,예외,저장 서브프로그램
2018-12-03 00:00:00 +0000반복문
- 자바의 WHILE, FOR문처럼 사용할 수 있다
- LOOP, WHILE, FOR 예제
DECLARE
i NUMBER := 0;
BEGIN
-- LOOP
LOOP
i:=i+1;
EXIT WHEN i > 10;
dbms_output.put_line(i);
END LOOP;
-- WHILE
WHILE i< 10 LOOP
i:= i+1;
dbms_output.put_line(i);
END LOOP;
-- FOR
FOR i IN 1..10 LOOP
dbms_output.put_line(i);
END LOOP;
END;
커서
- SQL문 실행 결과 정보를 저장한 메모리 공간
- 사용방법에 따라 명시적, 묵시적 커서로 나눔
- SELECT INTO
- 조회되는 데이터가 1개일 때 사용
- SELECT로 컬럼을 선택하고 INTO에서 변수에 대입
- 그 외 기존 사용방식 동일(WHERE, GROUP 등.. 사용가능)
SELECT 열1, 열2, .., 열 n
INTO 변수1, 변수2.., 변수 n
FROM ...
- 실제 사용 예제
DECLARE
V_DEPT_ROW DEPT%ROWTYPE;
BEGIN
SELECT DEPTNO, DNAME, LOC INTO V_DEPT_ROW FROM DEPT
WHERE DEPTNO = 40;
DBMS_OUTPUT.PUT_LINE('DEPTNO:' || V_DEPT_ROW.DEPTNO);
END;
- 명시적 커서 선언
DECLARE
CURSOR 커서 이름 IS SQL문; -- 커서 선언
BEGIN
OPEN 커서 이름; -- 커서 열기
FETCH 커서 이름 INTO 변수 -- 커서로부터 읽어온 데이터 사용
CLOSE 커서 이름; -- 커서 닫기
END;
- FOR LOOP를 사용하면 OPEN, FETCH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
FOR 루프 인덱스 이름 IN 커서 이름 LOOP
결과 행별로 반복 수행할 작업;
END LOOP;
- 사용 예제
DECLARE
-- 명시적 커서 선언
CURSOR c1 IS
SELECT DEPTNO, DNAME, LOC
FROM DEPT;
BEGIN
-- 커서 FOR LOOP 시작(자동 Open, Fetch, Close)
FOR c1_rec IN LOOP
DBMS_OUTPUT.PUT_LINE('DEPTNO:' || c1_rec.DEPTNO);
END LOOP;
END;
예외처리
- SQL 프로그램 실행 에러를 ‘예외’라고 함
- 예외 이름 선언, 처리부분으로 나눠짐
- RAISE 예외를 발생시키는 키워드
DECLARE
cnt NUMBER:=0;
e_user_exception EXCEPTION; -- 예외 정의
BEGIN
SELECT COUNT(*) INTO cnt
FROM employees
WHERE department_id = 40;
IF cnt < 5 THEN
RAISE e_user_exception;
END IF;
EXCEPTION
WHEN e_user_exception THEN
dbms_output.put_line('인원이 너무 적어요');
END;
저장 서브프로그램
- 여러번 사용할 목적으로 이름을 지정하여 오라클에 저장해두는 것
- 저장할 때 한번만 컴파일
- 메모리, 성능, 재사용성 등 장점이 있다
- 실행은 EXEC 저장 서브프로그램 이름(인자);
- RETURN 값이면 인자에 OUT, 전달 인자면 IN으로 명시
CREATE [OR REPLACE] PROCEDURE 프로시저 이름
IS | AS
선언부
BEGIN
실행부
EXCEPTION
예외 처리부
END [프로시저 이름];
- 사용 예제
create or replace PROCEDURE JOB_UPDATE(p_job_id in JOBS2.JOB_ID%TYPE, p_job_title in JOBS2.JOB_TITLE%TYPE, p_min_salary in JOBS2.MIN_SALARY%TYPE, p_max_salary in JOBS2.MAX_SALARY%TYPE)
IS
v_count NUMBER := 0;
-- CURSOR job_cursors IS SELECT JOB_ID, JOB_TITLE, MIN_SALARY, MAX_SALARY FROM JOBS2;
BEGIN
--CURSOR job_cursors IS
SELECT COUNT(*)
INTO v_count
FROM jobs2
WHERE job_id = p_job_id;
--job_record job_cursors%ROWTYPE;
dbms_output.put_line('count:'||' '||v_count);
IF 0 = v_count THEN
dbms_output.put_line('INSERT2'||' '||p_job_id);
INSERT INTO JOBS2 VALUES(p_job_id, p_job_title, p_min_salary, p_max_salary);
dbms_output.put_line('INSERT'||' '||p_job_id);
ELSE
dbms_output.put_line('UPDATE2'||' '||p_job_id);
UPDATE JOBS2 SET JOB_TITLE = p_job_title, MIN_SALARY = p_min_salary, MAX_SALARY = p_max_salary WHERE JOB_ID = p_job_id;
dbms_output.put_line('UPDATE'||' '||p_job_id);
END IF;
END;
Oracle PL/SQL
2018-11-29 00:00:00 +0000PL/SQL
- SQL에 프로그래밍 언어 기능(변수, 제어문, 함수 등)을 절차적으로 확장한 언어
- Compile이 필요 없이 Script 생성 및 변경 가능
- 선언부(DECLARE), 실행부(BEGIN~END), 예외처리부(Exception)
- output에서 출력하기 위해 set serveroutput on; => 설정 필요
DECLARE
- 변수선언
DECLARE
v_no NUMBER(3) := 10;
v_hireDate VARCHAR2(30) := TO_CHAR(SYSDATE, 'YYYY/MM/DD');
- 상수선언
c_message CONSTANT VARCHAR2(50) :='hello world'
BEGIN~END
- DBMS_OUTPUT 패키지 PUT_LINE 프로시저를 이용하여 결과 출력
BEGIN
DBMS_OUTPUT.PUT_LINE('hello world');
DBMS_OUTPUT.PUT_LINE(c_message);
DBMS_OUTPUT.PUT_LINE(v_hireDate);
END;
- 전체 예제
DECLARE
v_no NUMBER(3) := 10;
v_hireDate VARCHAR2(30) := TO_CHAR(SYSDATE, 'YYYY/MM/DD');
c_message CONSTANT VARCHAR2(50) :='hello world';
BEGIN
DBMS_OUTPUT.PUT_LINE('hello world');
DBMS_OUTPUT.PUT_LINE(c_message);
DBMS_OUTPUT.PUT_LINE(v_hireDate);
END;
- 특정 테이블의 로우를 검색하여 변수에 할당 후 출력
- dbms_output.put_line();
- 사용 예제
DECLARE
v_name VARCHAR2(20)
v_salary NUMBER;
v_hiredate VARCHAR2(30);
BEGINE
SELECT last_name, salary, TO_CHAR(hire_date, 'yyyy-mm-dd')
INTO v_name, v_salary, v_hiredate
FROM employees
WHERE last_name = 'Chen';
dbms_output.put_line('검색된 사원 정보');
dbms_output.put_line(v_name || ' ' || v_salary || ' ' || v_hiredate);
END;
Posts
-
Interceptor(인터셉터)
-
Android Studio Install
-
계층형 게시판
-
VirtualBox Ubuntu 18.04.2 LTS
-
TransactionAwareDataSourceProxy Error
-
Java Coding Conventions
-
Java Long과 long의 차이
-
Mybatis 객체 안에 객체 매핑
-
JavaConfig mariadb 연결
-
DataTable
-
관리자 페이지
-
MappingJackson2JsonView
-
Spring Javaconfig
-
게시판 만들기-제품 등록
-
게시판 만들기-제품 페이지 제작
-
게시판 만들기-회원탈퇴 및 게시판 삭제 플래그 추가
-
footer 하단에 고정시키기
-
bootstrap4 사용법
-
Spring 데이터 검증 @Valid, BindingResult
-
brackets 실시간 미리보기
-
Spring 기본설정(pom.xml, web.xml, encoding)
-
Vue.js computed, methods, watch
-
javascript onkeyup
-
Maria DB Incorrect string value Error
-
javascript 암호화(md5, base64)
-
Vue.js template
-
Vue.js 소개
-
Nexacro 설명
-
ControllerAdvice
-
Batch
-
html 페이지 로딩 순서
-
소수구하기(PrimeNumber)
-
최소공배수,최대공약수
-
Stream
-
Lambda(람다식)
-
inner class(내부 클래스)
-
final 키워드
-
file upload
-
파이썬 빅 데이터 K-평균(K-means)
-
아나콘다(Anaconda), 주피터 개발환경 세팅
-
텐서플로우(TensorFlow) 아키텍쳐 및 Session
-
텐서플로우(TensorFlow)상수, 변수, 함수
-
머신러닝 기초
-
한글 리스트 오름차순, 내림차순
-
연속된 글자의 갯수 출력
-
java spring5 프로젝트 설정
-
restController
-
spring 세팅 및 기본설정
-
mybatis trim
-
jquery datepicker
-
ajax로 데이터 전달/응답 받는법
-
mybatis error
-
mybatis 게시판 만들기 순서
-
Java Jsp Mybatis Dynamic Query
-
mybatis
-
git 소개
-
node.js 개발환경 구축
-
node.js 기본 내장 모듈
-
node.js의 전역 객체
-
node.js http module
-
node.js event
-
jdbc
-
자바빈
-
jsp, servlet 정리
-
java null object pattern
-
다음지도 key 등록(kakao map)
-
공공 데이터 open api
-
facebook login api
-
sourcetree 사용법
-
JavaScript event3
-
JavaScript jquery
-
JavaScript dom
-
JavaScript ajax
-
JavaScript 이벤트2
-
JavaScript 캡슐화
-
JavaScript Array,내장객체
-
JavaScript var
-
JavaScript 객체,생성자
-
JavaScript 함수,클로저
-
JavaScript Event
-
javascript eclipse 자동완성(with tern)
-
CSS position
-
HTML5,CSS 선택자
-
자바 시간 측정
-
git,eclipse 연동
-
HTML 기초 정리
-
Eclipse Web 환경세팅
-
피보나치의 수
-
Oracle 반복문,커서,예외,저장 서브프로그램
-
Oracle PL/SQL
-
Oracle 다중쿼리(Multiple row query)
-
Oracle 인덱스, 뷰, 시퀀스, 트랜잭션, 세션 정리
-
Oracle JOIN 정리
-
Oracle DDL, DML 정리
-
Oracle 문자열 함수 정리
-
Oracle 숫자,날짜,자료형 변환 함수 정리
-
Oracle 제약조건 정리
-
Oracle 기초 쿼리 정리
-
문제2775
-
DFS
-
junit
-
json
-
algorithmus basic
-
circular queue(원형큐)
-
binary search(이진탐색)
-
port forwarding(포트포워딩)
-
kakao chatbot(카카오 챗봇)
-
java io
-
sort comparable, comparator
-
Unresolved compilation problem
-
ArrayList, HashMap
-
Regular(정규표현식)
-
Enum Class
-
String Function
-
refactoring 이란(상수,제어플래그,assert)
-
reference,abstract 정리
-
FileNotFoundException Solve
-
static
-
Thread Synchronization(스레드동기화,원자성)
-
Java Exception(예외처리)
-
Java 생성자, this, super
-
roomnum
-
BeeHouse
-
Git Reset, Revert
-
Git Log
-
Array
-
stack
-
pyramid draw
-
Star Draw(별 그리기4)
-
Star Draw(별 그리기3)
-
Star Draw(별 그리기2)
-
Star Draw(별 그리기1)
-
Loop(While, For)
-
자바 데이터 타입, 데이터 연산
-
시계방향 달팽이 그리기
-
정수값의 짝수,홀수 갯수 구하기
-
java, Scanner 정리
-
draw dog
subscribe via RSS